(한)김천흥컬렉션 (원)김천흥컬렉션
국가기록원 수장고
심소 김천흥은 1909년 서울의 남산 근처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 한학을 공부하는 서당에 다녔고, 초등학교 과정인 정동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3세가 되던 1922년에 이왕직아악부(李 王職雅樂部)의 아악생 양성소 2기생으로 입소하였다.
말년에 김천흥은 국립국악원 원로 사범과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한국의 악가무(樂歌舞)를 위해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서울시문화상, 대한민국 예술상, 방일영문화상, 금관문화훈장 등을 수훈하였다. “남과 다투지 않고 아부하지 않고 욕심 부리지 않고 마음 편히 늙었으니 행복하고 후회가 없다”던 김천흥은 2007년 8월 18 일 99세를 일기로 타계하였다
김천흥. 관련메모(하루미),컬러, 흑백,,
양금연구회. 관련메모(하루미). 필름 유,컬러,,
1-좌로부터 (국악사양성소 2기생 당시 국악고 동창회장), 뒤로 이상용, 이청자, 정재국, 뒤로 조운조, 김천흥, 뒤로 이기설, 최충웅, 강사준, 윤미용, 2-좌로부터 인남순, 이애경, 뒤로 오은희, 앞으로 하루미, 박숙자, 채성희, 해의만, 뒤로 최숙희, 앞으로 김천흥, 홍금산, 이청자, 김정원(하와이 둘째딸), 최은희, 이순임. 관련메모(하루미),컬러,...
처용무, 무대인사, 리허설, 관악합주, 시조창, 해금연주, 양금합주. 국립국악원 무용단 및 국립국악원 연주단. 관련메모(하루미),컬러,,
매월 제4주 토요일,,,
김천흥, 이청자. 관련메모(하루미),컬러, 흑백,,
뒷줄 좌로부터 한승옥, 이흥구, 정지영, 김천흥, 하루미, 윤영옥, 최숙희, 앞줄 좌로부터 이계옥, 박종례, 허순선. 좌로부터 이계옥, 하루미, 김천흥, 정재만, 문일지, 이흥구. 관련메모(하루미),컬러, 흑백,,
김태섭, 김성진, 김천흥, 성경린, 이춘식, 박영호, 곽영호, 황규남, 윤찬구, 사재성, 박종설, 황득주 등. 관련메모(하루미),컬러,,
좌로부터 박정수, 김미숙(곽태규 부인), 강사준, 윤미용, 최충웅, 김정자, 김천흥, 이승렬(당시 국악원장), ? 이지영, 임재심, 정재국. 관련메모(하루미). 관련메모지 추가,컬러, 흑백,,
좌측부터 김천흥, 임동권, ?. 관련메모(하루미),컬러, 흑백,,
관련메모(하루미),컬러, 흑백,,
앞줄 좌로부터 김응서, 김중섭, 김용만, 이동규와 가운데줄 우측으로부터 5번째인 김천흥외. 관련메모(하루미),흑백,,
학무 2인. 관련메모(하루미). 관련자료 : 사진관련내용, 철판?. P1-PHO-59, 143, 144, 335, 336, 337, 338,흑백,,
김천흥, 송성희, 문일지외 40여명. 관련메모(하루미). 관련자료 : 사진관련내용, 철판?. P1-PHO-59, 143, 144, 335, 336, 337, 338,흑백,,
김천흥, 성경린, 이상만. 관련메모(하루미),컬러,,
문하생 음정혜, 송성희, 최순자, 김공자, 곽재순(곽정란), 조순명(조지연) 등 19명과 아동부 36명. 관련메모(하루미),흑백,,
관련메모(하루미),흑백,,
뒷줄 우측부터 4번째가 김천흥 등. 관련메모(하루미),흑백,,
김천흥 선생님 외. 관련메모(하루미),흑백,,
김천흥, 정재국, 이용규 등. 관련메모(하루미),흑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