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0월 호

개발자 2019.02.11 13:54 조회 : 594
    
        

2014년 10월

    
    

 안무가에게 책상을 허(許)하라

                                                                                                     
                                                                      

 얼마 전에 현대무용가 H가 우리 자료원을 방문했다. 그녀는 책으로 둘러싸인 연구공간을 둘러보더니 부럽다고 했다. 그녀는 홍은창작센터에 입주한 안무가이다. 그녀의 연구공간을 방문했던 기억을 떠올리며, “선생이야말로 좋은 연구공간을 갖고 있지 않느냐”고 되물었다. 우리 자료원은 변두리에 위치하며 연구공간은 좁고 누추하여 그녀의 널찍하고 안락한 공간과는 비견할 바가 못 되기 때문이다. H는 내년이면 창작센터에 입주한지 3년이 되어서 나와야 하는데 마땅히 갈 곳이 없다고 하였다. 순간 의아했다. 안무가에게 연구공간이 왜 꼭 필요한 것일까?                        

                        

글_ 편집주간 최해리(무용인류학자, 한국춤문화자료원 공동대표)

                    
        

무용연구에서의 표절문제, ‘물탄개과(勿撣改過)’가 되어선 안 될 것 - 무용역사기록학회의 연구윤리포럼(2)을 다녀와서

                                                                                                     
                                                                      

 무용역사기록학회의 첫 번째 연구윤리포럼이 학술연구에서 전반적으로 경계해야 할 표절과 저작권 문제를 다룬 것이라면, 이번 연구윤리포럼은 무용연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표절문제를 다룬 것이다. 10월 18일 이화여대에서 열렸던 연구윤리포럼에서 한국춤문화자료원의 공동대표인 최해리가 자신의 연구자적 여정과 자신이 경험했던 표절 사례를 발제하였고, 장지영 국민일보 기자가 토론자로 나서서 무용연구에서의 표절 사례를 보충하였다. 발제와 토론을 통해 필자를 포함하여 참석자들은 무용연구에서 표절의 심각성을 공감하였고, 종합토론에서 표절근절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나누었다. 필자는 포럼에서 인상 깊었던 내용을 중심으로 몇 가지 사안을 정리하며 널리 공유하고자 한다.                         

                        

글_ 현희정(국제무용콩쿨 아시아지국 대표, 국제창작교육연수소 소장)
사진_ 무용역사기록학회 제공
                        

                    
        

‘청명심수(淸明心受), 김백봉 춤의 아리랑’

                                                                                                     
                        

 88서울올림픽게임과 86아시안게임을 비롯하여 거국적 행사에 으레 등장하던 부채춤과 화관무. 이 춤의 원작자는 누구일까? 취봉(翠峰) 김백봉(金白峰, 본명 金忠實) 선생이다. 분단 이전에는 최승희의 수제자이며 뛰어난 무용수로, 또 손아래 동서로 이름을 드날렸던 분이다. 분단 이후에는 한국무용의 기본을 만들고 우리춤의 초석을 세웠으며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명으로 전 세계에 우리춤의 아름다움을 전파했던 인물이다. 1927년생인 김백봉 선생은 올해 미수(米壽)를 맞이했다. 선생의 미수를 기념하는 무대가 11월 12~13일, 국립극장 해오름무대에서 ‘청명심수(淸明心受), 김백봉 춤의 아리랑’이라는 제목으로 개최된다. 최현주 제작PD로부터 공연의 이모저모에 대해 들어보았다.                        

                        

글_ 인턴기자 안수진(서울대 미학/경영학 4)
사진_ 공연기획 MCT 제공

                    
                                             
        

우리 것은 그냥 좋은 것이 아니다, ‘2014 악가무의 동행 회향(回向)’ 중 김경진의 춤

                                                                                                     
                                                                      

 정재는 춤을 추는 사람이 춤의 한자락한자락마다 그윽한 뜻을 펼쳐 보이고, 보는 사람은 춤의 창제(創製) 배경을 이해하고 무용수가 전하고자하는 움직임의 의미를 깨달아 갈 때 제 맛이 우러난다. 즉, 무용수와 관객이 의미를 공유함으로서 비로소 춤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날 관객들에게 정재가 지닌 의미를 깨우쳐준 것은 정재연구회 김영숙 예술감독의 해설이었다. ‘전통춤 해설의 달인’답게 김영숙 감독은 춤이 창제된 경위에서부터 보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이날 공연된 정재와 의식무에 대해 쉽고 일목요연하게 설명해주었다. 그리고 김경진은 그의 고(古) 스승인 김천흥, 현(現) 스승인 김영숙이 오랜 연구 끝에 환원한 궁중무용 <춘앵전>과 <무산향>을 지극한 마음으로 스승들과 관객들에게 지어 올렸다.                         

                        

글_ 편집주간 최해리(무용인류학자, 한국춤문화자료원 공동대표)
사진_ 옥상훈 제공
동영상_ 김경진 제공

                    

길거리에서 만난 스리랑카의 전통춤, <칸디 춤(Kandyan Dance)>

                                                                                                     
                                                                      

 스리랑카의 대표적인 민속춤은 <칸디 춤(Kandyan Dance)>이다. 칸디는 스리랑카의 정신적인 수도로, 행정수도인 콜롬보에서 동쪽 내륙으로 120km 떨어졌다. 칸디는 석가모니의 치아 사리를 모신 불치사(佛齒寺)로 유명하다. 이 옛 도시에선 매년 7~8월 에살라 페라하라(Esala Perahera) 라는 화려하고 거대한 축제 행렬이 벌어진다. 축제 주최 측은 코끼리 여러 마리에게 화려한 원색의 천으로 옷을 해 입힌다. 온갖 장식으로 멋을 낸 대장 코끼리 등 위에는 성스러운 불치가 든 함을 싣는다. 호위하는 스님과 불자들이 코끼리를 둘러싸고 북과 나팔을 든 악사, 화려한 의상의 무남(舞男), 깃발을 든 대중들이 길게 칸디 시내를 행진한다. 신도와 구경꾼으로 온 도시가 왁자지껄해진다.                        

                        

                            글, 사진_ 손현철(KBS 다큐멘터리 프로듀서, 시인)                         

                    

강렬한 내면의 표출, ‘리을 30주년 그 깊은 호흡의 춤’

                                                                                                     
                                                                      

 리을무용단은 “물이 흐르는 원천, 원과 근본사상이 통하는 기호”라는 무용단의 이름과 “가장 아름다운 사람이 가장 아름다운 춤을 출 수 있으며, 춤을 춤으로만 승부한다”는 정신을 오늘날까지 계승해왔다. 배정혜 선생의 바 기본을 바탕으로 한 독특한 춤어휘의 개발과 내면의 표출이 강조되는 작품색을 통해 한국창작무용의 형성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는 그녀를 주축으로 이곳에서 배출된 많은 중견무용가들의 노력이 근간을 이룬다. 30년이라는 세월의 흐름 속에서 비록 춤추는 이는 바뀌었지만 그 춤의 잔상은 변화되지 않으며 그들이 갖고 있는 깊은 호흡이란 진정 외형으로 꾸며내는 것이 아닌 ‘숨’ 그 자체인 것이다.                        

                        

글_ 장지원(무용평론가, 한국춤문화자료원 공동대표)
사진_ 리을무용단 제공

                    

한국 발레의 총제적 난국 여실히 드러낸 공연, 국립발레단 <교향곡 7번>, <봄의 제전>

                                                                                                     
                                                                      

 강수진 감독이 첫 항해부터 단원들에게 혹독한 성찰의 기회를 준 것일까? <교향곡 7번>과 <봄의 제전>(10월 18일, 예술의전당)은 상당한 기술을 요구하는 작품이고, 이에 대한 도전이 단원들을 한층 성숙시키기 위함이지만, 이번 공연은 단원들의 문제점을 민망할 정도로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두 작품 모두 원작의 안무, 무대와 의상까지 똑같이 재연했는데, 한국 무용수들의 신체적 결함들이 노출되었을 뿐 아니라 원작의 역동성이 제대로 표현되지 못함으로써 에너지의 한계를 인정하게 만들었다. 그렇다고 해서 그들 각자의 기량이 부족한 것은 아니다. 작품의 난이도와는 별개로 극복해야 할 근본적인 문제들이 있는 것이다.                        

                        

글_ 서지영(공연평론가, 드라마투르기) 
사진_ 국립발레단 제공

                    

무리한 글로벌화의 무대, 유니버설발레단의 발레 <춘향>

                                                                                                     
                                                                      

 한류시대에 발레를 통한 한국 문화 알리기 의도에서 시작한 유니버설발레단의 창작품 <춘향>은 1986년의 <심청>에 이어 선보인 두 번째 작품으로, 한국의 지고지순한 ‘사랑’을 소개하고 있다. 이번 무대에서 보여준 차별화 전략은 <춘향>의 무대가 시작되기 전에 보여준 작품제작과정의 영상이다. 작품을 준비하는 과정을 영상으로 보여줌으로써 작품에 대한 관객의 이해도를 높이게 하고 화려한 무대 뒤의 과정을 소개함으로 관객과의 소통을 시도한 것이다. 영상에 이어 시작한 무대는 서곡과 함께 월매의 기도, 춘향의 고문을 연출한 장면, 춘향과 이도령의 첫 만남, 단오축제, 창포, 과거시험 등의 다채로운 장면을 2막 3장에 걸쳐 선보였고, 기량이 뛰어난 무용수들의 춤판이 벌어지는 공연이었다.                        

                        

글_ 전주현(발레전문 리뷰어, 한국춤문화자료원 공동대표)
사진_ 유니버설발레단 제공

                    

필립 장띠의 서정성과 덴마크댄스시어터의 우울한 예언

                                                                                                     
                                                                      

 ‘SIDance 2014’에 초청된 외국무용단 가운데 지명도가 가장 높은 팀으로는 덴마크댄스시어터(Danish Dance Theater)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1981년 코펜하겐에서 창단한 후 열 차례에 걸쳐 덴마크 최고의 무용작품상 후보에 올라 네 차례를 수상한 덴마크 최대의 컨템퍼러리무용단이다. 2001년 영국출신 안무가인 팀 러쉬튼(Tim Rushton, 1963~)을 예술감독으로 초빙한 이래 클래식발레와 현대무용을 융합한 혁신적인 춤으로 국제적으로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무용단의 금년 초청작은 2014년 신작인 <블랙 다이아몬드>(10.12, 강동아트센터 대극장)였다.                        

                        

글_ 이근수(무용평론가, 경희대 명예교수)
사진_ SIDance 2014 제공

                    
        

공연예술의 새로운 조류 (Ⅰ)

                                                                                                     
                                                                      

 무용의 역사에서 현대무용은 모던댄스, 포스트모던댄스, 신표현주의, 컨템포러리 댄스의 시기를 거친다. 모던댄스를 거쳐 1960년대~ 70년대 현대무용의 기술적 테크닉과 그 속에 짙게 깔린 감정주의에 반기를 든 새로운 포스트모던댄스가 출현했다. “존재하는 모든 소리는 음악이 될 수 있다”는 존 케이지(John Cage)의 말처럼 현대무용에 일상적 움직임을 적용하기 시작했고 머스 커닝햄(Merce Cunningham)을 비롯해 이본느 레이너(Yvonne Rainer), 트리샤 브라운(Trisha Brown), 스티브 팩스턴(Steve Paxton) 등이 이러한 움직임에 합류했다.                        

                        

강연_ 안애순(국립현대무용단 예술감독)
정리_ 부편집장 장지원(무용평론가, 한국춤문화자료원 공동대표)
원문_국립현대무용단 제공

                    

니체의 몸, 예술생리학 그리고 현대무용 (XII) - 니체와 현대 예술

                                                                                                     
                                                                      

 현대무용의 영역에서도 니체의 영향은 지대하다. 니체는 음악과 함께 춤을 대표적인 디오니소스적 예술로 본다. 무용이 근본적으로 몸의 예술이고, 몸의 도취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것은 디오니소스적 인 것이다. 『비극의 탄생』에서 니체는 “인간은 노래하고 춤추면서 (…) 스스로를 신으로 느끼며, 마치 꿈속에서 신들이 소요하는 것을 본 것처럼 그 자신도 황홀해지고 고양되어 돌아다닌다.”고 말한다. 그의 철학의 정점을 보여주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니체는 “이제 나는 가볍다. 나는 날고 있으며 나 자신을 내려다보고 있다. 이제야 한 신이 나를 통해 춤을 추고 있다.” 그리고 “나는 춤추는 신만을 믿을 것이다.”고 단언한다. 니체는 춤이 몸을 고양시키고 고양된 힘은 바로 삶과 세계에 대한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극치를 보여준다고 확신한다.                        

                        

글_ 정낙림(예술철학가)

                    

점프를 위한 대퇴근육 훈련(5)

                                                                                                     
                                                                      

 발레동작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뛰고, 돌고, 정지된 동작으로 바란스(balance)를 잡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점프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리근육을 비롯한 상체의 가벼움, 호흡, 족근(발바닥근육) 등 다양한 부분의 협조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점프에서 가장 근본적으로 탄력을 요하는 곳은 대퇴부의 대내전근(adductor magnus)을 비롯한 대퇴부분의 근육 일체이다. 이러한 근육 훈련을 위해서 바(barre)에서 하는 동작이 바로 바뜨망 퐁뒤(battements fondus)이다. 퐁뒤 동작은 자전거 바퀴가 돌아가는 듯이 두 다리를 함께 구부리고 펴면서 하는 동작이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천천히 부드럽게 연습해야 한다. 즉 지면을 딛고 공중으로 솟아오르는 동작인 점프의 원리를 연습하는 것으로 이때 주의할 점은 다리에 체중을 무리하게 싣지 않도록 해야 한다.                        

                        

글_ 전주현(무용교육박사, 한국춤문화자료원 공동대표)

                    
        

예술가보다 더 예술가다운 삶, 세르게이 디아길레프(Sergei Pavlovich Diaghilev)

                                                                                                     
                                                                      

 세르게이 디아길레프는 러시아 출신으로 미술 평론가, 발레 프로듀서, 흥행주, 후원가 등의 다양한 수식어로 대변된다. 그는 최초의 개인 경영 발레단인 ‘발레뤼스’ 창단, 발레단 장기 세계 순회공연, 미하일 포킨(Michel Fokine), 바슬라프 니진스키(Vaslav Nizinskii), 안나 파블로바(Anna Pavlova)와 같은 훌륭한 안무가들과 무용수들을 발굴·육성하는 등 발레사에 큰 획을 긋는 많은 업적을 남겼다. <불새>, <목신의 오후>, <봄의 제전> 등 그가 제작한 발레 걸작들은 주로 당시 파리 몽마르트르에 모여 활동하던 각 장르의 아방가르드 예술가들과의 협업으로 탄생하였는데, 장 콕도, 스트라빈스키, 피카소 등이 이에 속한다. 예술사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주의의 등장 이후 생겨난 탈장르화 현상에 따라 장르간 크로스오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현재까지도 일종의 ’트렌드‘로 이어지고 있는 예술사적 흐름을 고려해봤을 때, 디아길레프는 이미 100년도 훨씬 이전에 그만의 방식으로 트렌드를 개척해나간 선구자였음을 알 수 있다.                    

                        

글_ 인턴기자 신찬은(성균관대 예술학협동과정 석사2기)

                    

Royal Opera House Collection 로열 오페라 하우스 컬렉션

                                                                                                     
                                                                      

 영국의 로열 오페라 하우스는 런던 중심가 코벤트 가든(Covent Garden)에 위치한 대표적인 공연예술극장으로서 로열 발레, 로열 오페라 그리고 로열 오케스트라가 상주하고 있다. 1734년, 처음으로 발레가 상연되었고 그 다음해부터는 오페라 공연이 시작되었다. 이후 약 300여년간 발레, 오페라, 오케스트라 공연뿐만 아니라 전시 및 교육 문화 프로그램 등을 제공해오고 있다. 현재 오페라 하우스는 1808년과 1857년 두 차례에 걸친 화재 이후 세 번째로 지어진 극장이다. 건물의 정면(façade) 와 입구, 공연관객석은 1858년부터 보존되어 왔고 이외의 부분들은 1990년대에 대부분 재건되었다. 이렇게 다사다난 했던 오페라 하우스의 역사를 기록해 담고 있는 로열 오페라 하우스 컬렉션(Royal Opera House Collections)은 개관과 함께 1732년부터 관련 자료들이 수집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1946년부터는 상주단체의 모든 공연뿐만 아니라 투어 및 초청 공연에 관한 방대한 자료가 생산되고 보존되어 왔다.                        

                        

글_ 김도연(한국춤문화자료원 연구원, University of College London / Archive and Records Management 석사)

                    
        

                                                                                                                                                                                                                                                                                                                                                                                                                                         
                                                                      

Dance Post. Korea 광고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대관료 지원사업 안내                         

                        

                                                     

                    
                                                                      

IOTPD 필립 브라운슈바이크 지원금 신청안내                         

                        

                                                     

                    
                                                                      

붓다, 일곱 걸음의 꽃                         

                        

                                                     

                    
                                                                      

제4회 2인무 페스티발                         

                        

                                                     

                    
                                                                      

무용역사기록학회 제16회 국내학술심포지엄                         

                        

                                                     

                    
                                                                      

최지연무브먼트 서사시를 춤추다1 <무용서사극:그 사람 쿠쉬>